MediaView
MediaView
클라이언트에서 사용되는 WidgetMediaView 객체.
이벤트
OnEndReached
file Upload 진행 시 event입니다. 연결함수 형식은 function() 입니다.
속성
YouTubeURL
Media 에 설정된 URL을 얻을 수 있어요. (deprecated) MediaURL 를 사용하세요.
MediaURL
Media 에 설정된 URL을 얻을 수 있어요.
-- 샘플 --
local ScreenUI = Workspace.ScreenUI
local Media = ScreenUI.Media2D
Media.MediaURL = "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jP1x7DVxTP4"
Media:OpenURL()
Media:Play()
Looping
Media 의 반복 재생 여부를 얻을 수 있어요.
-- 샘플 --
local ScreenUI = Workspace.ScreenUI
local Media = ScreenUI.Media2D
Media.Looping = false
PlayOnOpen
Media 자동 재생 여부를 얻을 수 있어요.
-- 샘플 --
local ScreenUI = Workspace.ScreenUI
local Media = ScreenUI.Media2D
Media.PlayOnOpen = false
함수
void OpenURL()
Media 주소로 연결해요.
-- 샘플 --
local ScreenUI = Workspace.ScreenUI
local Media = ScreenUI.Media2D
Media.MediaURL = "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jP1x7DVxTP4"
Media:OpenURL()
Media:Play()
void SetMediaState(MediaState Type)
현재 Media의 상태를 바꿔요. (Play, Pause)
-- 샘플 --
local ScreenUI = Workspace.ScreenUI
local Media = ScreenUI.Media2D
Media.MediaURL = "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jP1x7DVxTP4"
Media:OpenURL()
Media:SetMediaState(Enum.MediaStateType.Play)
MediaState GetMediaState()
Media의 상태를 판별할 수 있어요.
-- 샘플 --
local ScreenUI = Workspace.ScreenUI
local Media = ScreenUI.Media2D
wait(5)
if Media:GetMediaState() == Enum.MediaStateType.Play then
print("DoSomething!")
end
void Play()
Media를 플레이시켜요.
-- 샘플 --
local ScreenUI = Workspace.ScreenUI
local Media = ScreenUI.Media2D
Media.MediaURL = "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jP1x7DVxTP4"
Media:OpenURL()
Media:Play()
bool IsPlaying()
Media가 플레이 중인지 판별할 수 있어요.
-- 샘플 --
local ScreenUI = Workspace.ScreenUI
local Media = ScreenUI.Media2D
wait(5)
if Media:IsPlaying() then
print("DoSomething!")
end
void Pause()
Media를 일시 중지 시켜요.
-- 샘플 --
local ScreenUI = Workspace.ScreenUI
local Media = ScreenUI.Media2D
wait(2)
Youtube:Pause() --Pause
wait(2)
Youtube:Pause() --Resume
bool IsPaused()
Media가 일시 중지 중인지 판별할 수 있어요.
-- 샘플 --
local ScreenUI = Workspace.ScreenUI
local Media = ScreenUI.Media2D
wait(5)
if Media:IsPaused() then
print("DoSomething!")
end
void Close()
Media를 꺼요.
-- 샘플 --
local ScreenUI = Workspace.ScreenUI
wait(1)
Media:Close()
bool IsClosed()
-- 샘플 --
local ScreenUI = Workspace.ScreenUI
local Media = ScreenUI.Media2D
wait(5)
if Media:IsClosed() then
print("DoSomething!")
end
bool IsPreparing()
Media가 준비 중인지 판별할 수 있어요.
-- 샘플 --
local ScreenUI = Workspace.ScreenUI
local Media = ScreenUI.Media2D
wait(5)
if Media:IsPreparing() then
print("DoSomething!")
end
bool IsReady()
Media가 준비되었는지 판별할 수 있어요.
-- 샘플 --
local ScreenUI = Workspace.ScreenUI
local Media = ScreenUI.Media2D
wait(5)
if Media:IsReady() then
print("DoSomething!")
end
bool IsWaitingForResponse()
-- 샘플 --
local ScreenUI = Workspace.ScreenUI
local Media = ScreenUI.Media2D
wait(5)
if Media:IsWaitingForResponse() then
print("DoSomething!")
end
사용 가능한 부모 오브젝트 기능들
속성
이름
설명
위젯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요. (X좌표 값, Y좌표 값, 0)
위젯의 회전을 설정할 수 있어요. (설정할 값)
위젯의 스케일을 설정할 수 있어요. (설정할 값)
위젯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어요. (가로값, 세로값, 0)
위젯의 그리는 순서를 설정할 수 있어요.
UI 위젯의 표시 여부를 설정할 수 있어요. (위젯 표시 여부)
UI 위젯의 반응 여부를 설정할 수 있어요. (위젯 반응 여부)
위젯의 투명 값을 설정할 수 있어요. (설정할 값)
위젯의 고정 여부를 설정할 수 있어요. (설정할 타입)
위젯의 채우기를 설정할 수 있어요.
이벤트
이름
설명
widget이 보여질 때 호출되는 이벤트에요. 연결함수 형식은 function(widget), widget 은 보여지는 widget 객체 입니다.
widget이 안 보여질 때 호출되는 이벤트에요. 연결함수 형식은 function(widget), widget 은 안 보여지는 widget 객체 입니다.
widget의 드래그가 시작 될 때 호출되는 이벤트에요. 연결함수 형식은 function(widget, vector2D), widget은 클릭한 객체, vector2D는 마우스 위치에요.
widget의 드래그가 취소될 때 호출되는 이벤트에요. 연결함수 형식은 function(widget, vector2D), widget은 클릭한 객체, vector2D는 마우스 위치에요.
widget의 드래그가 드랍될 때 호출되는 이벤트에요. 연결함수 형식은 function(widget, vector2D, dragwidget), widget은 드랍한 객체, vector2D는 마우스 위치, dragwidget는 드래그한 widget에요.
함수
이름
설명
(deprecate) AddChildUIWidget 함수로 이용하세요.
자식 UI 위젯을 추가할 수 있어요. (자식으로 추가할 UI 위젯)
부모 UI 위젯을 설정할 수 있어요. (부모로 설정할 UI 위젯)
위젯을 제거할 수 있어요.
위젯의 타입을 문자열로 얻을 수 있어요.
위젯의 타입을 Enum 형식으로 얻을 수 있어요.
위젯의 DragEvent 발생 시 복사되어 보여질 widget을 세팅해요.
위젯의 DragWidget에 적용될 Offset 이에요.
Last updated
Was this helpful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