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stView
ListView
클라이언트에서 사용되는 Widget ListView 객체.
속성
ImageDrawType
리스트뷰 이미지의 DrawType을 설정하고 얻을 수 있어요 (None, Tile, Slice, Border).
-- 샘플 --
local listView = Workspace.ScreenUI.ListView
listView.ImageDrawType = Enum.ImageDrawType.Image
ImageSliceLeftRight
리스트뷰 이미지의 DrawType이 Slice, Border일 때의 Slice 좌우영역(각각 0부터 1사이)을 정하고 얻을 수 있어요(Left, Right).
-- 샘플 --
local listView = Workspace.ScreenUI.ListView
listView.ImageDrawType = Enum.ImageDrawType.Slice
listView.SliceLeftRight = Vector.new(0.5, 0.5, 0) --X : 좌 / Y : 우
ImageSliceTopBottm
리스트뷰 이미지의 DrawType이 Slice, Border일 때의 Slice 좌우영역(각각 0부터 1사이)을 정하고 얻을 수 있어요(Top, Bottom).
-- 샘플 --
local listView = Workspace.ScreenUI.ListView
listView.ImageDrawType = Enum.ImageDrawType.Slice
listView.SliceTopBottom = Vector.new(0.5, 0.5, 0) --X : 상 / Y : 하
ImageTiling
리스트뷰 이미지의 DrawType이 Tile일 때의 옵션값을 설정하고 얻을 수 있어요 (NoTile, Horizontal, Vertical, Both)
-- 샘플 --
local listView = Workspace.ScreenUI.ListView
listView.ImageDrawType = Enum.ImageDrawType.Image
listView.ImageTiling = Enum.ImageTilingType.Both
함수
void SetBackgroundColor(Color color)
ListView의 배경 색을 설정할 수 있어요. (변경할 색)
-- 샘플 --
local listView = Workspace.ScreenUI.ListView
listView:SetBackgroundColor(Color.new(0, 0, 255, 255))
color GetBackgroundColor()
ListView의 배경 색을 가져올 수 있어요.
-- 샘플 --
local listView = Workspace.ScreenUI.ListView
print(listView:GetBackgroundColor())
void SetContentTransparency(Number Value)
ListView의 투명도를 설정할 수 있어요. (Number Value)
-- 샘플 --
local listView = Workspace.ScreenUI.ListView
listView:SetContentTransparency(0.5)
void SetHeightPadding(Number Value)
ListView의 윗쪽 사이를 설정 할 수 있어요. (Number Value)
-- 샘플 --
local listView = Workspace.ScreenUI.ListView
listView:SetHeightPadding(100)
float GetHeightPadding()
ListView의 윗쪽 사이를 가져올 수 있어요.
-- 샘플 --
local listView = Workspace.ScreenUI.ListView
print(listView:GetHeightPadding())
void SetSlotSize(Number XSize, Number YSize)
ListView의 슬롯 사이즈를 설정 할 수 있어요. (Number XSize, Number YSize)
-- 샘플 --
local listView = Workspace.ScreenUI.ListView
listView:SetSlotSize(50, 50)
vector2D GetSlotSize()
ListView의 슬롯 사이즈를 가져올 수 있어요.
-- 샘플 --
local listView = Workspace.ScreenUI.ListView
print(listView:GetSlotSize())
void SetIsStretch(bool bOn)
ListView의 슬롯 사이즈를 설정 할 수 있어요. (Number XSize, Number YSize)
-- 샘플 --
local listView = Workspace.ScreenUI.ListView
listView:SetSlotSize(50, 50)
bool GetIsStretch()
ListView의 Stretch여부를 가져올 수 있어요.
-- 샘플 --
local listView = Workspace.ScreenUI.ListView
print(listView:GetSlotSize())
void SetScrollBarValue(number ScrollRatio)
ScrollBox의 스크롤바 위치를 실수 단위(0~1)로 조정 0 이면 가장 위 1 이면 가장 아래
number GetScrollBarValue()
ScrollBox의 스크롤바 위치를 실수 단위로 반환
사용 가능한 부모 오브젝트 기능들
속성
이름
설명
위젯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요. (X좌표 값, Y좌표 값, 0)
위젯의 회전을 설정할 수 있어요. (설정할 값)
위젯의 스케일을 설정할 수 있어요. (설정할 값)
위젯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어요. (가로값, 세로값, 0)
위젯의 그리는 순서를 설정할 수 있어요.
UI 위젯의 표시 여부를 설정할 수 있어요. (위젯 표시 여부)
UI 위젯의 반응 여부를 설정할 수 있어요. (위젯 반응 여부)
위젯의 투명 값을 설정할 수 있어요. (설정할 값)
위젯의 고정 여부를 설정할 수 있어요. (설정할 타입)
위젯의 채우기를 설정할 수 있어요.
이벤트
이름
설명
widget이 보여질 때 호출되는 이벤트에요. 연결함수 형식은 function(widget), widget 은 보여지는 widget 객체 입니다.
widget이 안 보여질 때 호출되는 이벤트에요. 연결함수 형식은 function(widget), widget 은 안 보여지는 widget 객체 입니다.
widget의 드래그가 시작 될 때 호출되는 이벤트에요. 연결함수 형식은 function(widget, vector2D), widget은 클릭한 객체, vector2D는 마우스 위치에요.
widget의 드래그가 취소될 때 호출되는 이벤트에요. 연결함수 형식은 function(widget, vector2D), widget은 클릭한 객체, vector2D는 마우스 위치에요.
widget의 드래그가 드랍될 때 호출되는 이벤트에요. 연결함수 형식은 function(widget, vector2D, dragwidget), widget은 드랍한 객체, vector2D는 마우스 위치, dragwidget는 드래그한 widget에요.
함수
이름
설명
(deprecate) AddChildUIWidget 함수로 이용하세요.
자식 UI 위젯을 추가할 수 있어요. (자식으로 추가할 UI 위젯)
부모 UI 위젯을 설정할 수 있어요. (부모로 설정할 UI 위젯)
위젯을 제거할 수 있어요.
위젯의 타입을 문자열로 얻을 수 있어요.
위젯의 타입을 Enum 형식으로 얻을 수 있어요.
위젯의 DragEvent 발생 시 복사되어 보여질 widget을 세팅해요.
위젯의 DragWidget에 적용될 Offset 이에요.
Last updated
Was this helpful?